투자/주식

ISA 계좌에서 변형듀얼모멘텀 전략 활용하기

Squirtle_@ 2025. 1. 25. 22:37

현재 주식으로 운용하고 있는 내 자산은 퇴직연금과 개인연금이 대부분인데, 올해부터는 ISA 계좌를 개설하여 운용하고자 하였다. 다만, 현재는 확실한 투자전략 없이 S&P 500과 나스닥을 매수한 상태이나...

무지성 Buy & Hold 하는 것은 정답이 아니라고 보기에 결국 자산배분을 또 해보고자 하였다.

다만, 퇴직연금과 개인연금 모두 정적 자산배분을 하고 있는 상황이기에 조금 더 높은 수익률을 확보하기 위해 ISA 계좌만큼은 동적 자산배분을 적용하려고 하였고, 이것저것 찾아보면서 공부를 했었다.

강환국 작가님 유튜브를 보면 동적 자산배분과 관련한 여러가지 전략이 있는데, 그 중에서

  1. 복잡하지 않을 것
  2. ISA 계좌에서 운용이 가능할 것 을 고려하여 아래 전략을 해보고자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VV_tCjJFUeI

 

[변형듀얼모멘텀 전략]

  1. 미국 주식 (SPY)와 미국 제외 글로벌 주식(EFA) 중 최근 1년 수익이 높은 ETF에 투자
  2. SPY의 최근 1년 모멘텀이 0이하면 8개의 채권 중 최근 6개월 수익이 높은 3개의 채권을 매수
  3. 안전자산 3개 중 6개월 수익이 0이하인 자산이 있다면 그 비중만큼은 현금을 보유
  4. 1개월 1회 리밸런싱

사실 이런 동작자산배분을 연금계좌에서 운용을 하고 싶었으나, 가장 큰 문제는 국내에 상장된 ETF들이 그리 많지 않다는 것이다. 약 5년전에도 딱 이 문제 때문에 못했었는데..

ISA 계좌때문에 다시 찾아보니 여전히 부족하긴 하지만 국내에도 꽤 많은 상품들이 만들어져 있더라!

자산군
미국 ETF
한국 ETF
S&P500
SPY
KODEX 미국S&P500TR
미국 제외 글로벌 주식
EFA
PLUS 선진국MSCI(합성 H)
미국 단기국채
SHY
ACE미국달러단기채권액티브
미국 중기국채
IEF
미국 장기국채
TLT
ACE미국30년국채액티브
미국 물가연동채
TIP
Kodex iShares 미국인플레이션국채액티브
미국 투자등급 회사채
LQD
Kodex iShares 미국투자등급회사채액티브
미국 하이일드 회사채
HYG
Kodex iShares 미국하이일드액티브
국제 채권
BWX
개도국 채권
EMD
Kodex 국고채10년액티브?

여전히 매칭이 잘 안되는 것들이 있긴 하지만 그래도 과거에는 아예 불가능했다면 지금은 시도는 해볼 수 있는 정도는 되는 것 같다.

 


 

  1. 백테스트는 나중에 진행하면 되고, 우선은 한국 ETF가 미국 ETF를 잘 추종하는지부터 확인해보자.

1) 우선 SPY와 EFA를 비교해 보았다.

EFA는 전체적으로 잘 추종하는 모습을 보였고,

SPY의 경우에는 오히려 아웃퍼폼하는 모습이 보인다. 환율과 Total Return의 효과인 것인가

(EFA가 후행하는 모습을 보이는 그래프이지만 아니다, 귀찮아서 그래프 수정을 하지 않았을 뿐..)

 

 

 

2) 그 다음 S&P 500 상황이 좋지 않을때 매수해야하는 채권 ETF에 대한 비교이다.

채권의 경우에는 한국ETF들이 상장한지 얼마되지 않아서, 장기 시계열로 비교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변형듀얼모멘텀을 진행하는데는 크게 어려움은 없을거라고 본다.

다만, 개도국 채권의 경우에는 한국10년국채를 적용하였는데, 영 이상하긴 하다..

 

결국에는 변형듀얼모멘텀을 한국 ETF로 적용하는데에 있어, 미국 중기국채, 국제 채권, 개도국 채권은 사용할 수 없는거나 다름없긴 하다.

어차피 진행할 백테스트 미국 중기국채 (IEF), 국제 채권(BWX), 개도국 채권(EMD)이 얼마나 많은 기간 보유하였었는지 같이 확인해보기로 했다.


2007년 부터 변형듀얼모멘텀의 백테스트 결과는 아래와 같다.

연평균 수익률 9.1%, MDD는 15.7%

2007년부터 이 전략으로 하였을 경우 현재 시점에서 원금이 4.4배가 되는 것이다.

 

강환국 작가님 영상의 백테스트 결과와는 사뭇 다른데.. 60년 ~ 90년대의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이 아닐까.

어찌되었든 보다 현실적인 기대치는 이 수치가 아닐까 싶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장 수익률을 아웃퍼폼하고, MDD도 개선이 되었으니 나름 괜찮지 않을까 싶다.

그리고 한국 ETF에 없는 미국 중기국채 (IEF), 국제 채권(BWX), 개도국 채권(EMD)의 보유 기간을 확인해 보았는데, 206개월 백테스트 기간 중 EMD 1/3 매수 시그널이 약 19개월이었고, 나머지는 매수 시그널이 발생하지 않았다.

그래서 EMD를 제외하고 다시 돌려 봤는데,

연평균 수익률이 약간 줄고, MDD는 오히려 개선되는 모습이 보인다. 결론적으로는 개도국 채권은 무시해도 괜찮지 않을까 싶다.

어찌되었든 향후 ISA 계좌는 변형듀얼모멘텀 전략으로 운용해 보아야겠다.